Oracle auto back up
오라클(oracle)자동백업설정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.
/root/oracle_backup.sh 백업할 스크립드 파일을 만들어서 아래 내용과같이 삽입합니다.
각자의 환경에 맞게 수정할 곳 수정하고 사용하면 됩니다.
# vi /root/oracle_backup.sh
#!/bin/sh
backupdir = /backup // 백업 최상위 디렉토리 지정
find /backup/oracle/ -ctime +13 -exec rm -rf {} ; // 백업 디렉토리중 Oracle DB가 저장되는 하위 디렉토리에서 13일이 경과된 (오래된) 파일은 삭제
sysdtime=`date +%Y%m%d`
db_backupdir=”$backupdir/oracle/$sysdtime”
mkdir -p “$db_backupdir” // 금일 날짜의 디렉토리 생성
exp userid=system/password1234 full=y file=$db_backupdir/$sysdtime.full.dmp log=$db_backupdir/$sysdtime.full.log // 전체 DB 데이타 및 로그파일 백업 (붉은색부분은 한줄로 작성)
그리고 주기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crontab 에 등록합니다. (매일 새벽 05시 )
find ctime에 대하여 추가 설명드립니다.
-ctime +n/-n/n
atime과 비슷하다. 다른 점은 atime은 얼마나 오래전에 파일을 액세스
하였는가를 검사하지만 ctime은 파일의 퍼비션을 마지막으로 변경시킨 날짜를
의미한다. (changed time)
최근 n일 이전에 액세스된 파일을 찾아준다.
+n은 n일 또는 그보다 더 오래 전의 파일을
-n은 오늘 부터 n일 전까지의 파일을
n은 정확히 n일 전에 수정되었음을 의미한다.예) 현재 디렉토리 아래에서 최근 일주일 동안 수정된 파일을 찾는 예
find . -ctime -7 -print
# crontab -e
00 5 * * * su – root -c /root/orable_backup.sh
그리고 주기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crontab 에 등록합니다. (매일 새벽 05시 )
자세한 crontab 관련 설정은 아래에서 확인 해보세요
http://diet4885.tistory.com/67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]linux IP변경하는 방법! (0) | 2017.12.07 |
---|---|
[리눅스]linux 네트워크 본딩 하는방법! (0) | 2017.12.07 |
[리눅스]linux 파일찾는 명령어(find 사용방법)! (0) | 2017.12.07 |
[리눅스]linux 시스템종료 명령어 사용방법! (0) | 2017.12.07 |
[리눅스]linux 사용자 계정정보 확인방법! (0) | 2017.12.07 |